728x90
https://n.news.naver.com/mnews/article/018/0005357850?sid=101
대출금리 9%시대 오나…“4억 빌렸다면 월이자만 216만원”
미국 연방준비제도(Fed·연준)가 4차례 연속 자이언트 스텝(한 번에 기준금리 0.75%p 인상)을 단행한 가운데 한국은행이 미국의 보폭을 따라갈 것으로 예상되면서 시중은행 대출 금리가 줄줄이 오
n.news.naver.com
현재 시장에선 연 4%대의 주택담보대출은 종적을 감췄고, 최고 금리는 7%를 넘어서 8%를 향해가고 있다.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(KB국민·신한·하나·우리·NH농협은행)의 주담대 변동형 금리는 3일 기준 연 5,09~7.614%로 집계됐다. 변동형 금리 상단은 지난 9월 말 4.5~6.813%였는데, 한 달여 만에 금리 상단이 1%포인트 가까이 올랐다.
업계에서는 한은 기준금리가 4%가 된다면 시장금리 상단은 9%에 육박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. 이에 따라 차주의 이자 부담은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으로 보인다.
예를 들어 2020년 8월 말 아파트 구입 자금으로 주담대(30년 원리금균등분할상환) 4억원을 빌린 A씨는 당시 연 2.36%의 금리를 적용받아 월 원리금 상환금액이 155만원씩 빠져나갔지만, 최근 금리가 연 6.05%로 변경되면서 241만원을 부담하고 있다. 연 평균 납부 이자는 528만원 가량에서 1560만원으로 증가했다.
하지만 대출금리가 연 8%로 오른다고 가정하면 월 원리금 상환금액은 약 294만원으로 불어난다. 1년 납부 이자 평균액은 2189만원에 이른다. 연 9%까지 금리가 오른다고 치면 원리금 부담액은 322만원으로, 월 300만원을 넘게 내야 한다. 연 평균 납부 이자는 약 2592만원이다. 한 달에 이자만 216만원 가량을 부담해야 하는 셈이다.
금리가 몇퍼센트 그냥 오르는 것처럼 보여도 실제 이자로 계산해보면 배가 되는거라 부담이 엄청 증가할 거 같다. 문제는 사람들이 이걸 그래도 감당을 하더라도 경기 침체인데 감당을 못해버리는 순간 경기 침체 수준이 아니라 그 이하가 될 거라는 거.
근데 미 금리 올라서 환율도 오를 줄 알았는데 걱정한 거에 비하면 환율은 그래도 오늘은 괜찮았던 듯. 물론 앞으로 레고랜드나 흥국생명 건으로 어떻게 될지 모르겠긴 하지만.
728x90
반응형
'4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사; 올해 아파트값, 외환위기 이후 최대폭 하락 (0) | 2022.12.18 |
---|---|
기사 ; '노동계 길들이기' 가속…사안 쌓였는데 신뢰는 실종 (0) | 2022.12.09 |
기사 ; 수도권, 세종 '부동산 규제' 또 푼다 (0) | 2022.10.27 |
주담대 한도 푼다 (0) | 2022.04.27 |